top of page
Featured Posts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Follow Us


신약사주
신약 사주가 인수가 있으면 칠살이 강해도 상해를 입지 않으나, 인수가 용신인데 재운으로 흐르면 흉하다. 이 때 상관이 상진하면 관운으로 흘러도 무방하나 상관이 강하여 인수가 용신이면 재성을 제거해야 길하고, 재성이 용신이면 인수를 제거해야...
조회수 13회
댓글 0개


상심부(想心賦)
관성이 용신이면 공경을 잘 하며 귀기가 높다. 이런 사람은 성품이 우아하며 인자하고, 관대하며 활달하고, 민첩하며 총명하다. 그리고 음성은 화창하고 수족은 수려하며 아름답다. 인수가 용신이면 지혜가 많고 인자하며 신체가 풍부하고, 식신이 용신이면...
조회수 7회
댓글 0개


낙역부(絡繹賦)
낙역부(絡繹賦) 인생의 귀천과 길흉은 천지의 오묘함과 조화를 측량하여 추리해야한다. 甲乙木 일간은 봄철인 寅卯辰월이 가장 길하고, 壬癸水 일간은 겨울철인 亥子丑월이 가장 길하고, 丙丁火 일간은 여름철인 巳午未월이 가장 길하고, 庚申金 일간은...
조회수 2회
댓글 0개


天干地支의 성질
천간의 성질 甲木은 대림목(大林木)이니 하늘을 향하여 솟아오르는 기질이 있는데, 겨울철에는 무조건 丙火인 태양이 필요하다. 봄에는 金이 상충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고, 가을에는 土가 상충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는다. 火가 너무 강하면 지지에 辰이...
조회수 2회
댓글 0개


사주명리학의 역사적 위인들
사주명리학의 역사적 위인들 - 은나라 : <하도낙서>. 음양오행론 태동. - 주나라, 춘추시대 : <괘사> <효사> <황제내경> 음양오행론 본격적 시작. - 전국시대 : 귀곡자, 낙록자의 <소식부> - 당나라 : 이허중 의 <이허중명서> -...
조회수 138회
댓글 0개


初學者를 위하여
初學者를 위하여 1. 명리학 공부 명리학을 공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초학자는 첫째로, 양서(良書)를 선택해서 정독하여 공부해야 하고 둘째는, 눈밝은 스승을 찾아서 사주감정의 비결을 배워야 합니다. 즉, 이론은 책을 통해서 배우고...
조회수 4회
댓글 0개
블로그: 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