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Featured Posts
Recent Posts
Archive
Search By Tags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初學者를 위하여




初學者를 위하여 1. 명리학 공부 명리학을 공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초학자는 첫째로, 양서(良書)를 선택해서 정독하여 공부해야 하고 둘째는, 눈밝은 스승을 찾아서 사주감정의 비결을 배워야 합니다. 즉, 이론은 책을 통해서 배우고 실전비결은 스승으로부터 배우는 것입니다. 셋째, 자신이 잘아는 주변사람들의 사주를 가지고 실전훈련을 시작하고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개업을 하여 영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적어도 수백건의 실제사주를 보아야 조금 보이기 시작하고 대가수준이 되려면 1 ~ 2만건의 사주를 보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통속적인 이야기일뿐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수백건의 사주만 보고도 명리의 진수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즉, 배우는 사람의 자질과 학식과 정열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입니다. 2. 명리학의 변천사 명리학은 모든 동양철학의 기초이자 완성입니다. 명리학은 육효,자미두수,기문둔갑,구성학,육임등 모든 동양철학의 기본입니다. 명리학은 이학(理學)의 대표적 학문입니다. 주역(周易)은 의리역(義理易)과 상수역(象數易)이 있습니다. 의리역은 주역을 이학(理學)의 측면에서 철학적으로 해석한 기초이론이고 상수역은 육효등 실전응용 즉, 점학(占學)입니다. 동양철학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주역(周易)이 있고 하도낙서(河圖洛書)가 있습니다. 그런데 주역의 팔괘를 처음 창시했다는 복희씨는 하도(河圖)를 보고 팔괘를 창시했다고 합니다. 이로 미루어 보면 하도낙서가 역술의 시초로 보여집니다. 하여튼 주역은 중국의 주(周)나라의 역술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입니다만 주역의 일부 효사(爻辭)를 보면 그 시초가 선사시대로 보여지는 대목도 있습니다. 명리학이 학문으로서 의미를 갖는 것은 당나라때 이허중을 들 수 있는데 이허중은 연간을 중심으로 오행생극에 의하여 운명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명리학이 학문으로서 완성된 것은 송나라 때 서자평입니다. 서자평은 일간을 위주로 오행생극제화에 의하여 운명을 감정했습니다. 서자평의 학설을 위주로 "연해자평"이라는 책이 나왔는데 명리학 최초의 고전입니다. 그 후 신봉 장남선생의 "명리정종"이라는 책이 나왔는데 연해자평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분석한 책입니다. 명나라때 유백온선생이 쓴 "적천수"라는 책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적천수는 비전되어 왔기 때문에 세상에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가 청나라에 와서 세상에 나왔습니다. 그리고 만유오선생의 "삼명통회"라는 책이 나왔습니다. 이 책은 오행을 철두철미 분석하고 신살의 기본원리를 해설하고 있습니다. 청나라에 와서는 진소암의 "명리약언"이 나왔고, 심효첨선생의 "자평진전"이 나왔으며 임철초선생의 "적천수천미"가 나왔습니다. 청나라 말기에는 원수산 선생, 서낙오 선생, 위천리선생이 중국에서 유명하며 일본에서는 아부태산 선생이 있습니다. 특히 고전에 주해를 많이 내서 명리학을 널리 보급시킨 서락오선생이 유명합니다. "궁통보감", 적천수 징의 , 자평진전 평주등을 저술했습니다. 궁통보감은 작자미상의 글을 서락오선생이 주해를 붙여 출간한 책입니다. 국내에서는 이석영선생의 사주첩경, 박제완선생의 명리요강,명리사전이 있습니다. 명리요강은 위천리선생의 "명학강의"를 번역한 것입니다. 3. 좋은 책을 선택하는 방법 명리학의 고전은 육서(六書)라고 하여 위의 "적천수천미", "자평진전", "궁통보감", "연해자평", "명리정종", "삼명통회"를 꼽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위 고전을 정독하는 것입니다. 특히 적천수천미와 자평진전은 여러번 정독하여 통달해야 할 것입니다. 위 육서는 모두 번역한 책이 나와 있지만 사용한 술어가 고전적인 용어라서 웬만큼 한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공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고전을 읽기 어렵거나 읽어도 이해가 어려운 분은 본 도움말에서 제공하는 글을 여러번 정독하시기 바랍니다. 본 도움말의 글은 위 고전의 핵심골수만 뽑아서 쉽게 해설한 글입니다. 그러므로 이 글을 이해하신 분은 고전을 읽고 이해하기가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그 외에 초학자가 이해하기 쉽게 해설한 책으로는 베스트셀러가 된 "사주정설"이라는 책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훌륭한 스승을 찾는 방법 학원에서 사주를 배우거나 역술인으로부터 사주를 배우더라도 일반적인 명리학만 배우게 되면 사주감정의 비결은 전수받지 못하게 됩니다. 물론 이론을 배우는 것도 책만 가지고 공부하는 것보다는 스승으로부터 배우면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숙달됩니다만, 사실 스승으로부터 배우는 것은 실전비결을 전수받기 위한 것입니다. 이론은 책을 통해서 독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훌륭한 스승을 찾는 것은 역시 어려운 일입니다만, 사실은 예로부터 제자가 스승을 찾는 것보다도 스승이 자신의 비결을 전수받을 제자를 찾는 일이 훨씬 어렵다고 합니다. 스승을 찾는 것은 유명한 사람을 수소문해서 찾아갈 수 있지만 자신의 도를 전수받을 그릇이 되는 제자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많은 역술인들은 자신이 최고라고 자랑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영업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최고라고 해야만이 손님들이 믿고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누가 실력있는 역술인인지 찾으려면 잘 따져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사실 대가들은 함부로 제자를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제자의 실력에 자신의 이름이 걸려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실력있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상당히 어려운 사주를 가지고 풀이를 부탁하여 그 답변을 들으면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실력없는 사람은 동문서답을 하거나 구렁이 담넘어가듯이 애매모호한 대답을 합니다. 그러나 명쾌하게 결론을 내는 사람은 실력있는 사람쪽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결론의 근거도 명쾌하게 제시하는 사람이라야 합니다. 결론은 내는데 그 이유를 명쾌하게 제시하지 못한다면 이해하지 않고 외워서 말하는 사람입니다. 물론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함부로 대답하는 사람도 있겠지요. 그러나 이런 사람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웬만큼 실력이 있는 것으로 인정받는 역술인들은 대개 많은 스승으로부터 사사받은 사람들입니다. 5. 기초의 중요성 건축물이 얼마나 크게 지어질 것인가는 그 기초만 보면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초를 보면 그 구조물의 크기와 내구성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릇이 한번 정해지면 나중에 바꾸기가 쉽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많은 재료를 모아 큰 그릇을 만들면 나중에 많은 지식을 담아 대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부터 정법에 의하여 튼튼한 기초를 쌓고 훌륭한 스승으로부터 지도를 받으며 자신이 부단히 공부하고 임상실험을 거쳐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10년 ~ 20년을 역술경력을 쌓았으면서도 큰 발전이 없는 것은 그 기초를 잘 닦지 않았고 그릇된 스승을 만나서 지도를 잘못 받았기 때문입니다.

<사주와 운명>

사주(四柱)는 그 자체로 이율배반(二律背反)입니다. 즉, 사주는 운명이 미리 정해져 있다는 전제(前提)하에 있습니다. 그런데 역(逆)으로 운명이 확고하게 정해진 것이라면 사주를 알 필요가 전혀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어떤 노력과 행위도 운명을 바꿀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선행(善行)을 하려는 의지도 필요없게 될 것이고 인간에게서 모든 희망을 빼앗아 버릴 것입니다. 따라서 명리학을 비롯하여 동양철학을 하는 사람들과 사주를 알고 싶은 사람들 모두 정확한 이해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사주는 결코 숙명론이 아닙니다. 만일 사주를 숙명론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지금 당장 다시 생각하기 바랍니다. 숙명론이라면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인간을 구속하고 좌절하게 하며 불행하게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주는 선천적인 힘(또는 흐름)으로 보면 됩니다. 그러나 이는 높은 개연성 내지는 그렇게 되려는 경향이므로 인간의 노력과 정신수양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물론 이런 흐름을 바꾸기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예를 들자면 강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거꾸로 헤엄치는 것과 같습니다. 거꾸로 헤엄쳐 본 사람이라면 흐름을 거스르는 일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 것입니다. 불가능하다고 포기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한다거나 기계의 힘을 빌린다거나 하면 어떨까요? 연어는 회귀하기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하여 수십킬로미터의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서 알을 낳습니다. 생명의 신비는 자연법칙으로부터 예외적인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즉, 강물은 어디까지나 위에서 아래로 흐를 뿐이지만 생명체는 강물을 거스를 수도 있는 것입니다. 똑같은 사주이고 운세도 나쁜데 어떤 사람은 포기하여 손을 놓고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어떤 사람은 의지를 굽히지 않고 계속해서 노력합니다. 이 두사람의 결과가 같을까요? 또 똑같이 운세가 좋은 사람인데 어떤 사람은 그저 즐기기만 하고 자기관리를 하지 않고 방탕한 생활을 계속하고 또 어떤 사람은 선행과 정신수양으로 바르게 생활했다고 합시다. 이 두사람의 결과가 같을까요? 물론 숙명론자들은 그 역시 숙명이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자기 자신을 속이는 말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피할 수 없는 숙명이 현실적으로 있음도 인정치 않을 수 없고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한 행위도 인정치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점에서 불교의 인과응보론을 생각하게 됩니다. 즉, 현생의 피할 수 없는 숙명은 과거생 또는 현생에서 내가 지은 업에 의한 결과이고, 현재 내가 짓고 있는 행위에 의한 업의 결과는 금생안에 또는 내생에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단, 짓는 것(업)과 받는 것(과보)에는 그 업의 종류에 따라 짧으면 수년 또는 길면 여러 생(生)의 시간차가 있다고 합니다. 예컨대 벼는 봄에 심어 여름에 가꾸고 가을에 거두지만, 나무는 종자를 땅에 심어 다 크려면 수십년이 걸리는 것과 같습니다. 사주명리학을 비롯한 동양철학의 모든 학문은 완벽한 것이 아닙니다. 실제 적중에 있어서도 완벽하지 않고 학문적 원리로 보아도 논리가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예컨대 쌍둥이는 사주가 같습니다만 서로 다르게 살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어떤 사람은 時를 3등분하여 세세히 따져야 한다고 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모두 논리가 불충분합니다. 또 쌍둥이가 아니더라도 같은 사주를 가진 사람이 지구상에 수천명은 될터인데 모두 운명이 같을까요? 그러나 그렇다고 사주가 엉터리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의 사주인 경우 실력이 뛰어난 역술인은 90%이상의 적중율을 보이기도 합니다. 사주명리학을 배우는 이유와 사주를 보는 이유는 자기자신을 알고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해서입니다. 즉, 내 그릇의 크기가 얼마인지 또 나는 어떤 쪽에 소질이 있는지를 알고 바른 길을 선택하여 나가며 운세가 나쁘면 심신수양에 힘쓰고 운세가 좋으면 마음껏 뜻을 펼치는 것입니다.



조회수 3회
단일 게시물: Blog_Single_Post_Widget
bottom of page